자격증을 준비하면서 만나게 된 책이 600페이지가 넘습니다. 이 책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엄두도 안나고 용어들도 익숙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이 책을 함께 추천하더군요. 곧바로 제가 가지고 있는 크레마 사운드 이북리더기로 yes24 무료전자도서관에서 대출을 하여 읽었습니다. 처음 생각할 때는 '7번 반복해서 읽는 건가?' 했는데 원리가 있더군요. 흥미로운 내용이었고 수긍이 가더군요. 저도 이런 경험이 있었습니다. 분명 맨처음엔 이해를 못했는데 계속 반복해서 읽다보니 내용이 이해되고 상황파악이 되었던 경우요. 이 책을 보시면 어려웠던 책들도 친근해질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 같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7번 읽기 공부법 - 야마구치 마유 (위즈덤하우스)


옅은 잉크로 인쇄를 7번 반복하면 점차 선명해진다. 거의 완성되었다면 인쇄된 결과를 가지고 미세 조정한다. 인쇄를 하는 감각으로 7번 읽기에 도전하라.

(위의 책)



7번 읽기 공부법의 원리


원리를 보면 윤곽선, 전체상을 그린다는 느낌으로 3번째 까지는 훑어봅니다. 4번,5번째 부터는 키워드 위주로 설명문을 의식합니다. 이때까지는 이해하려고 하거나 외우려하지 말라고 당부합니다. 6번째는 디테일한 부분까지 읽으면서 사례 설명하는 부분을 의식하며 정답을 맞춰보는 감각으로 읽습니다. 7번째는 조금 덜 들어온 듯한 내용은 해당 부분만 골라 읽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요점을 파악하려고 의식이 필요 없다는 거에요. 7번 읽는 동안 요점은 반드시 떠오른다고 말합니다.




7번 읽기는 친구가 되는 과정


서로 모르는 사람끼리 처음 만나는 상황과 비슷하다 처음 만난 사람과 인사를 나누자마자 바로 그 사람을 이해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이해를 목적으로 책을 읽기 시작한다면 처음 만난 상대방가 바로 친한 친구가 되려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당연히 어렵다고 느껴지고 내팽개치고 싶어진다. 대체로 우리는 단번에 친구가 될 수 없다. 처음에는 그저 '아는 사이'일 뿐이다. 인지란 이렇게 서로 아는 사이의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조금씩 머릿속에 정보를 집어넣고 책에 적힌 문장과 아는 사이가 되어 가는 셈이다.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문장과 친밀감이 형성된다. 어려운 문장도 이미 처음 읽기에서 본 상태이기 때문에 '아까 읽었던 문장이다'라고 인지할 수 있다. 읽기 횟수를 거듭할수록 인지의 빈도는 늘어나고 아는 사이에서 점점 친한 '친구 사이'로, 나아가 신뢰할 수 있는 '절친한 사이'로 가까워진다.




과연 저는 그리고 여러분은 책과 절친한 사이가 될 수 있을까요? 전 그전에 아는 사이라도 되려 합니다. :)


+ Recent posts